✔ 모든 것이 불확실
먼저 이 HMM의 매각과정에 있어서 문제는 '공개되는 정보가 제한적이다'라는 점입니다. 현재 인수자금은 6조4천억원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하림의 자기자본 조달비율은 30%가량입니다. 인수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계획조차 확실하지 않은 상황이죠. 결국 HMM을 인수하게 되면 이 막대한 금액 때문에 하림의 전체 재무 상태가 안 좋아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HMM도 마찬가지로 영향을 받게 되는 거죠. 때문에 이 비용을 HMM의 현금흐름, 자산 등을 이용해서 충당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이고, 그렇게 되면 HMM의 경쟁력은 하락하는 결과를 낳습니다. 또한 HMM이 보유하고 있는 10조원가량의 자금에 대해서도 현재 글로벌 선사들은 더 많은 돈으로 친환경, 탈탄소 트렌드에 대응하는 준비를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될 경우 HMM 즉, 우리나라 해운산업에도 큰 타격이 있다고 보고 있고요.
특히 사모펀드는 투자금 회수를 위해 수익 보장을 요구하게 되고, 무리한 조건들이 포함될 확률이 높아 민영화에 대한 목적을 이룰 수 있는지가 불투명해지기도 합니다. 산은과 해진공의 자금 회수가 아닌, HMM의 경쟁력 훼손되냐, 되지 않느냐가 중요하다는 겁니다.
또한 핵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쟁점은 산은과 해진공이 보유한 영구채 전환입니다. 지배구조를 결정할 수 있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인데요. 현재 매각 예정인 지분은 약 58%인데, 다가오는 2025년 4월에는 HMM이 발행한 영구채가 중도상환 기일이 됩니다. 이자가 큰 폭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중도상환 신청을 하게 되고, 잔여 영구채를 전환하게 되면 하림 지분은 약 58%에서 약 39%로 하락하게 됩니다. 그러면 산은과 해진공의 지분이 33%로 2대 주주가 된다는 거죠. 거기에 국민연금, 신용보험과 같은 정부 관련 우호 지분을 합치면 더욱 대주주가 불확실해지고요.
✔ 성급할 필요 없다
지금 단계에서는 일단 매각 절차를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에 관한 정보, 매각예상가, 영구채 처분 계획 등이 공개되고, 절차를 진행해야 하며, 인수자금 조달계획을 제시할 수 있는 적합한 대상을 찾아야 된다는 건데요. 사기업으로만의 역할이 아닌, 공적자금이 포함된 공공재의 역할까지 충분히 하고 있기에 민영화에 대해 성급할 필요가 없다는 거죠.
무엇보다도 해운산업이 국가 기간산업이니 만큼 정부의 개입도 필요하다는 지적인데요. 특히 해운산업 자체의 성장성이나 다른 고민보다는 금융논리가 더 우세해 이런 상황이 벌어졌다는 분석입니다. 노조뿐만 아니라 국민 전체가 사회적 여론을 구성하는 방식이 필요하며, 이대로 매각이 진행되고,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면 어떤 대응을 해야 할지 준비도 동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독일의 선사 하팍로이드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이 지분을 조화롭게 갖고 있는 좋은 사례입니다. 포워딩 1위 기업인 퀴네앤드나겔 관련 기업이 30%, 함부르크시가 14.8%, 카타르 투자청 산하 기관이 14.4%, 사우디 국부펀드가 10.1% 등 건실한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는 거죠. 때문에 앞서 언급했던, 영구채 전환에 대해서도 산은과 해진공이 오히려 견제 주주가 될 수 있는 역할까지 기대할 수 있기에 주식으로 전환하는 등의 방식보다는 충분한 고려가 동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고요.
IMF(국제통화기금)가 정한 올해 경제성장률은 2.9%로 낮고, 월드뱅크도 2.4%를 전망한 상황입니다. 컨테이너선의 공급과 수요 밸런스만 보더라도 결국 운임을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요. 이런 리스크에 대응할 수 있는 적합한 인수 예정자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해 보이며, 무조건적인 민영화보다는 지배구조, 정책 등 국가 차원의 지원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