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지원 육성 공약]
● 자율주행자동차 및 도심항공교통(UAM) 전환을 위한 기술 인프라 대대적 확충·규제 폐지
● 드론·UAM 등 새로운 배송 및 운송 수단 발전 속도 가속화
● 5G 전국망 고도화, 6G 세계 표준 선도,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서비스 가능한 5G MEC 기술 육성
● 모빌리티 서비스 산업의 법적 근거 마련 및 규제 혁파, 관련 기업의 해외 수출 지원
● 수도권 항공모빌리티 테스트베드 실증노선 상용화 서비스 추진 (인천공항~여의도~강남권)
● 항공모빌리티 네트워크 구축계획 및 도심 공간 3D 복합환승 로드맵 수립
● 강원도에 소형 화물차 특화 e-모빌리티 산업 육성
● 울산 도심항공모빌리티(UAM) 클러스터 구축 (도심항공모빌리티 진흥원 설립)
● 부산 항공물류지구, 에어시티지구, 해양신산업지구 등 공합복합도시 조성
● 부산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오시리아,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추진
● 전남 고흥에 드론기업 유치 및 특별자유화 지정, 플라잉카 미래비행체 산업 연계 시너지 창출
● 경북을 항만(드론) 전자부품거점 단지 조성, 드론정비 MRO 사업 관련 기업 집적화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 드론 등 모빌리티와 관련 미래 먹거리 사업은 기술적인 문제보다 규제에 가로막혀 발전하지 못한 부분도 있죠. 그렇지만 22년 9월부터는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발표하고 직접적으로 규제를 완화하거나, 규제샌드박스 등 본격적으로 모빌리티산업을 성장시키려는 의지를 엿볼 수 있었는데요.
지난해 10월부터는 ‘모빌리티 혁신법(모빌리티 혁신 및 활성화 지원에 관한 법률)’을 통해 민간 혁신에 대한 지원과 체계를 마련하고, 규제샌드박스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최대 4년간 실증을 지원하며, 결과에 따라 규제도 추가적으로 정비할 예정이죠. 또한 자율주행차에 대한 규제를 일부 면제하고, 유상으로 여객이나 화물운송 특례가 부여되는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를 꾸준히 확대해 현재는 전국 17개 시도, 총 34곳에서 운영 중입니다.
UAM은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달려가고 있습니다. 22년 9월 국토교통부가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하면서 기체안정성과 요금체계 등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 왔는데요. 올해 4월부터는 ‘UAM법(도심항공교통 활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될 예정입니다. 도심형항공교통, 버티포트(도심공항) 등에 대한 정의를 신설하고, 관련 규제특례, 규제신속확인 규정, 행정적·재정적 지원 등 활성화를 위한 내용을 담고 있죠.
지난 8월부터는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K-UAM 그랜드챌린지 실증’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올해부터는 여의도, 잠실 등 수도권에서 본격적으로 실증사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동시에 필수 인프라인 버티포트에 대한 안전기준을 마련하거나, 규제 없이 비행할 수 있도록 특별자유화구역을 지정하는 등 체계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충청권에서는 주요 도시를 '하늘길'로 연결하는 도심항공교통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대전·충남·세종·충북 등 시·도와 민간 기업이 협력해 초광역권 UAM을 조성하겠다는 거죠. 특히 충청권은 한국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물류 및 교통의 요충지이기도 합니다. 주요 관광명소를 연결하는 관광형 UAM과 여의도와 정부세종청사 등을 연결하는 교통수요형 UAM 등 UAM산업 육성의 전초기지 역할이 기대되고 있죠.
동시에 각 지역에서는 모빌리티 특화 도시로 변모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한데요. 국토교통부는 지자체가 혁신기술을 보유한 기업 등과 협력해 규제특례를 추진하는 ‘지역주도형 스마트도시 규제샌드박스’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부산의 ‘에코델타 스마트시티’와 같은 지역이 주도하는 육성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취지죠. 게다가 가덕도신공항의 개항계획이 빨라지면서 부산시는 '에어시티' 조성에도 속도를 내고 있고요. 그리고 전남 고흥군에서는 국내 최초 드론 특화단지를 조성할 계획으로, 지난해 12월 착공을 시작해 26년 하반기 완공될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