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윤석열 정부가 집권 3년을 맞았습니다. 임기 절반을 통과하는 현시점, 저희는 윤석열 정부가 후보자 시절 약속했던 공급망·물류·유통 부문의 공약 이행이 어느 정도 이뤄졌는지 궁금했습니다. 앞서 2022년에도 저희는 <윤석열 당선인 물류부문 공약 정리 (링크)>를 제작하며, 윤석열 정부가 구상하고 있는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로드맵을 살펴본 바 있는데요. 이를 통해 조금이나마 정부의 국정철학과 방향성을 이해하려는 취지였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물류대란 해소와 공급망 부문의 공약]
● 국적 해운선사 활용한 주기적, 고정적 선적의 사전보장 지원
● 해외 공동물류센터 이용 확대 등 물류 서비스 지원 확대
● 필수 원부자재 관리와 재고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경영운전자금과 국산화를 위한 생산구축 자금 지원
● 공급망 정보공유 플랫폼 구축, 공급망 대응 전략 컨설팅 지원 확대
● 수급 현황과 위기 모니터링, 부처별로 산재한 공급망 관련 지원사업 통합한 지원 거버넌스 구축
● 특정 국가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수입처 다변화, 리쇼어링 등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추진
●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분산되어 있는 공급망 전체 상황을 종합 재정비
● 통상교섭본부의 공급망 운영 관련 무역 관리 시스템 마련
● 기술·안보·통상을 포괄하는 범부처 역량과 정책 조율 체계 확립
● 전략물자 개념을 글로벌 밸류체인에 적용해 대응
● 대외 의존도가 높은 품목에 비상대책 수립, 수입처 다변화, 재고량 유지 강화
● 공급망 재편 관련 전후방산업 내 중소·중견기업의 영향 최소화를 위한 중소벤처기업부 역할 강화
윤석열 정부는 집권 전부터 공급망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각 부문별 공약에 녹여냈습니다. 올해(2024년) 신년사에서도 빠지지 않도 등장한 단어가 바로 '공급망'이죠. 저희 또한 공급망을 강조하는 취지와 그 중요성을 공감하는 바이기에, 실제 집권 이후 어느 정도 공약을 이행하고 성과를 냈는지, 또 어떤 부분은 다소 아쉬움이 있었는지를 상기하는 차원에서 본 콘텐츠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 공급망 역량 강화
공통적으로 정부는 대외 의존도가 높은 품목(원부자재 포함)에 대한 위기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국가 차원에서 공급망을 안정화하는 정책 및 기관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산업부(산업통산자원부)는 22년 12월부터 공급망 실사 대응을 위한 ESG(환경·사회·지배 구조) 지원을 본격 추진했습니다. 관련 시상식을 개최해 지속가능경영에 유공이 된 기업들을 표창하고, 한국생산성본부와 협력하여 EU 등의 공급망 실사 법제화 대응을 위한 '공급망 실사 대응을 위한 K-ESG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는데요. 이를 활용하여 기업들에 대한 ESG 리스크를 사전에 진단하고, 개선하는 컨설팅 및 지원을 강화한다는 것이 골자입니다.
지난해 5월에는 공급망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입법을 추진 중인 '공급망 3법' 중 '소부장 특별법(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핵심전략기술 관련 품목, 해외 특정 지역이나 국가로부터의 수입 비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소재·부품·장비산업 공급망 안정 품목을 법적으로 정한다는 건데요. 이를 지원하기 위해 공급망 센터를 지정했고요. 이를 계기로 12월 산업부는 특정국가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산업 공급망 3050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희귀가스, 흑연, 요소 등 185개의 품목을 선정하고, 의존도를 22년 평균 70%에서 30년까지 50% 이하로 낮출 계획이죠.
올해 6월 27일부터는 '공급망기본법(경제 안보를 위한 공급망 안정화 지원 기본법'이 시행될 예정입니다. '공급망안정화위원회'라는 컨트롤타워를 설치하고, 관련 기금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건데요. 핵심 자원에 대한 현황, 수급 상황 등에 대한 국가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한 셈이죠.
대한상의(대한상공희의소)는 올해부터 시행되는 공급망실사법에 대응해 '권역별 공급망 ESG 지원센터'를 출범했습니다. 22년 11월부터 공급망 ESG 지원센터를 신설했고, 지원 및 컨설팅을 강화해오다가 각 지역 지방상의의 요청에 따라 전국으로 확대한 건데요. 해당 법안은 공급망 내의 협력업체까지 ESG 의무가 포함되므로, ESG 실사 대응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들은 지원이 필수적인 상황이죠. 공급망 ESG 지원센터는 ▲국내 수출 중소·중견기업 ESG 진단 및 컨설팅 지원 ▲시/도 등 지자체, 유관기관 대외협력 창구 ▲지방 중소기업 실무자 교육 및 청년 ESG 인턴십 통한 전문인력양성 ▲EU 공급망실사·CBAM 관련 기업애로 정책건의 창구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또한 대한상의는 지난해 7월 이마트, 롯데마트, 쿠팡풀필먼트서비스 등 온·오프라인 유통사 11곳과 '유통산업 ESG 공동사업 추진'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는데요. 동종업계가 모여 협력사들의 ESG 정보를 공유해 공급망에 대응하겠다는 것이 골자입니다. 이를 기반으로 유통사들의 공급망 관리 매뉴얼을 개발하거나, 협력사들의 ESG 정보를 공유하는 플랫폼도 구축할 예정이죠.
기재부(기획재정부) 또한, 공급망실사법에 대응하기 위해 '민관합동 ESG 정책 협의회'를 개최하고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지원 효율성 증대를 위한 업종별 컨설팅 ▲인력·자금 여건 개선 지원 ▲실사대응 플랫폼 구축 ▲원청·협력업체 간 협업체계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EU나 미국 등 글로벌 기업들의 ESG 대응 속도가 가팔라짐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공급망 실사 의무가 가속화되고 있어 이를 공유하는 컨설팅 및 지원이 다양화되는 듯 보이는데요. 또한 각 기업들을 자국에 유치하려는 글로벌 트렌드가 확산됨에 따라 올해부터는 국내에서 창업 혹은 사업장 신설·증설 기업에 대해 세제지원을 해주는 '리쇼어링' 유치 정책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